청년도약계좌 유리한 금리 은행과 청년희망적금 비교
본문 바로가기
금융

청년도약계좌 유리한 금리 은행과 청년희망적금 비교

by moneyplus91 2023. 7. 7.
반응형

청년도약계좌는 안전한 자산 형성을 위해 금리 변동에 의한 위험을 막고자 최소 3년간 고정금리로 운영된다고 합니다. 가입 후 3년은 고정된 금리가 적용되고, 이후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될 예정입니다. 각 은행별 제공하는 기본 금리와 우대 금리 조건이 달라 표로 정리했습니다. 주거래은행 여부, 우대 조건 달성 여부 등을 따져 본인에게 유리한 조건으로 가입하여 봅시다.

 

은행별 우대금리 및 우대조건

은행 기본금리 은행별 우대금리 및 우대조건
NH농협은행 4.50% 우대금리 최대 1.00%p
[급여이체] (가입월부터 만기 전전월말까지) 급여실적 12 / 36 / 50개월 이상 0.10 / 0.30 / 0.50%p
(- 급여실적은 월별 50만원 이상인 경우 인정, 비연속적인 경우도 포함)
[마케팅 동의] 가입시점 마케팅 전체동의0.20%p
[카드실적] 카드실적 월평균 20만원 이상 0.20%p
(- 가입월부터 만기 전전월 말까지, NH채움(개인신용/체크)카드 이용실적, 현금서비스 제외)
[최초거래] 농협은행 예적금(청약포함) 미보유 또는 NH청년희망적금 만기해지 고객 0.10%p
(- 가입직전 1년간
신한은행 4.50% 우대금리 최대 1.00%p
[급여이체 우대] 이 상품 신규 후 본인명의 신한은행 입출금통장으로 급여이체 실적(건당 50만원 이상)30개월 이상인 경우0.30%p
[신한카드 결제 우대] 이 상품 신규 후 본인명의 신한은행 입출금통장으로 본인명의 신한카드(신용/체크) 결제실적이 30개월 이상 있는 경우0.30%p
[첫 거래 우대] 이 상품 신규 직전 1년간 신한은행 정기예금, 정기적금, 주택청약 상품이 없었던 고객이 이 상품을 신규한 경우0.40%p
우리은행 4.50% 우대금리 최대 1.00%p
[급여이체] 우리은행 입출식 계좌로 급여이체 (50만원 이상, 가입기간의 1/2 이상): 1.00%p
[예적금 미보유] 직전 1년간 우리은행 정기예금 및 적금 미보유 0.50%p
[카드결제] 우리은행 입출식 계좌로 우리카드(신용/체크) 결제실적 보유(10만원 이상, 가입기간의 1/2 이상): 0.50%p
(- 만기해지 시점까지 우리은행 상품서비스 안내동의(SMS 및 휴대폰 전화) 및 적금 자동이체 유지 필수)
하나은행 4.50% 우대금리 최대 1.00%p
[급여(가맹점대금)이체] 이 예금 가입후 만기 전전월말 기준, 36회차 이상 급여 입금 또는 가맹점(결제)대금 입금실적을 보유한 경우0.60%p
[마케팅 동의] 이 예금 가입전 하나은행 상품, 서비스 마케팅 동의 항목 모두를 동의한 경우0.10%p
[카드결제] 이 예금 가입후 만기 전전월말 기준, 월 합산 10만원 이상의 하나카드 결제 실적(신용/체크)을 보유한 경우0.20%p
[목돈마련 응원] 이 예금 가입일로부터 직전1년간 적금 또는 예금을 미보유한 경우0.10%p
(- ,청년희망적금, 청년내일저축계좌, 주택청약종합저축, 청년도약계좌 예외)"
IBK기업은행 4.50% 우대금리 최대 1.00%p
[급여이체] 당행 급여이체 실적(50 만원 이상) 36개월 이상인 경우1.00%p
[마케팅 동의] 가입시점 상품서비스 마케팅 문자수신 동의 상태인 경우0.10%p
(- 기존 미동의 고객이 계좌 신규 당일에 동의한 경우 포함)
[지로/공과금] 지로/공과금 자동이체 실적(2건 이상) 36개월 이상인 경우0.20%p
[카드이용] 당행 신용(체크)카드 이용실적 연평균 200만원 이상 및 만기시점까지 보유한 경우0.20%p
[최초고객] 가입시점 최초신규고객에 해당하는 경우(아래 2가지 요건 중 1가지 이상 충족 시): 0.30%p
(- 실명등록일로부터 3개월 이내, 가입일 직전월 기준 6개월간 총수신평잔 ‘0’)
KB국민은행 4.50% 우대금리 최대 1.00%p
[급여이체] 이 적금의 신규일이 포함된 달부터 만기 전전월 말까지 급여 입금 월수가 36회 이상인 경우0.60%p
[자동이체]이 적금의 신규일이 포함된 달부터 만기 전전월 말까지 본인 명의 KB국민은행 입출금통장에서 아래 1) 또는 2)의 자동이체 출금이 발생한 경우0.30%p
1) 2건 이상의 공과금 자동이체 월수 36회 이상
2) 청년도약 LTE 요금제의 자동이체 출금 월수 36회 이상
계약기간 중 주택청약종합저축 신규 가입 고객 또는 가입일 기준 KB청년희망적금 만기 해지 고객0.10%p
DGB대구은행 4.00% 우대금리 최대 1.50%p
(신규가입일) 마케팅동의0.30%p
(가입 시점) 주택청약 보유0.50%p
(만기일) 대구은행 계좌를 통해 자동이체로 30회 이상 입금0.70%p
BNK부산은행 4.00% 우대금리 최대 1.50%p
급여이체(가입기간 30개월이상 급여실적 보유 고객): 0.50%p
카드실적(가입기간 당행 BC카드(신용,체크) 실적 5백만원이상 보유 고객): 0.50%p
신규고객(가입직전 3년간 부산은행 예적금 가입이력 없는고객): 0.50%p
광주은행 3.80% 우대금리 최대 1.70%p
[급여이체] (적금 가입일~만기 전전월말)본인 명의 당행 입출금이 자유로운 계좌로 급여이체 입금실적 월 50만원 이상 30회이상인 경우0.50%p
[카드사용 우대금리] (적금 가입일~만기 전월말)본인 명의 당행 신용(체크)카드 이용액(매입기준) 5백만원 이상인 경우0.50%p
[첫 거래 우대금리] 이 예금 가입일 전일자 기준 최근 1년동안 본인 명의 당행 예적금 계좌를 보유하고 있지 않거나, 신규 또는 해지거래(신규취소제외)이력이 없는 경우0.50%p 
[만기축하 우대금리] 만기해지시 해지원금 3천만원 이상인 경우0.20%p
전북은행 3.80% 우대금리 최대 1.70%p
[급여이체] 가입월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급여이체 입금실적이 총 계약기간의 1/2 이상인 경우 (1회 인정): 0.7.%p
[마케팅 동의] 신규시 마케팅동의한 경우0.20%p
[적금 자동이체] 가입월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당행 요구불통장를 통한 계좌간 자동이체로 입금 실적이 총 계약기간의 1/2 이상인 경우 (1회 인정): 0.30%p
[카드실적] 가입월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당행 신용(체크)카드 사용실적이 총 계약기간의 1/2 이상인 경우 (1회 인정): 0.50%p
BNK경남은행 4.00% 우대금리 최대 1.50%p
[급여이체] 적금가입기간의 1/2 이상(30개월) 급여 50만원 이상 입금0.70%p
[주택청약 보유] 신규가입 시점 주택청약종합저축(청년우대형 포함) 보유0.40%p
[최초신규고객] 직전 1년간 예적금(주택청약종합저축) 신규 및 해지이력 미보유0.40%p

 

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

청년 희망적금은 2022년에 출시되었고 사회초년생 등 저소득층 청년들이 자산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지원해 주는 정부 지원형 적금 상품입니다. 청년도약계좌에 비해 혜택은 좋은 편이나 당시 조건이 까다로웠습니다.

 

-공통점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음의 가장 큰공통점은 두 상품 모두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린것과 같이 비과세 혜택은 이자 수익에 세금을 물리지 않기 때문에 돌려받는 금액에 보탬이 됩니다.

 

-차이점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의 가장 큰 차이점은 가입 대상이 더 늘어났다는 점 입니다. 청년희망적금의 경우 개인소득 3천6백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2천6백만원 이하인 반면, 청년도약계좌는 기준을 완화해서 대상자가 더 많습니다. 그 밖에도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만기가 2년인 청년희망저축에 비해 만기가 5년으로 길어졌습니다. 

 

상품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대상 만 19~34세 청년 (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은 미산입)
운영 형식 적금투자운용 형태(적금형 등) 선택 적금
소득요건 개인소득 6000만원 이하,
가구 소득 중위 180% 이하
개인소득 총급여 3600만원이하
(또는 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
납입금액 최대 40~70만원 최대 50만원
지원금 소득구간에 따라 3%, 3.7%, 4.6%, 6%
월 지급
1년차 2%, 2년차 4% 만기 시 지급
만기 5년 2년
비과세 비과세

 

반응형